스포트네트워크 배전설비 보호협조

1️⃣네트워크 배전선에 단락사고

배전선 단락사고발생→
전력회사 변전소 차단기 동작→
고장회로 프로텍터 차단기 동작

  • F1점에 단락사고가 발생했을때 사고전류는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고 전원변전소의 과전류계전기(51) 및 프로텍터 계전기(67)가 동작하여 변압기(T1)를 회로에서 분리시킨다.
  • 이때 프로텍터 퓨즈를 통과하는 전류 2Is는 프로텍터 차잔기의 차단용량이하이므로 프로텍터 퓨즈의 불피요한 용단 또는 열화를 피하기 위하여 프로텍터 차단기를 먼저 차단할 필요가 있다.
  • 즉 퓨즈의 허용단시간 특성 이내에서 차단기를 차단시킨다.
  • 고장전류의 흐름
    • 배전선로의 고장전류 : Is₁
    • N.Protector : 건전회선을 통한 고장전류의 역률 2Is₂
  • 보호협조
    • 변전소 CB는 Is에 대응하여 과전류 계전기 동작
    • N.Protector CB는 역전력을 감지하여 역 전력 계전기(67)가 순시 동작
    • 2Is₂의 전류에서 N.Protector CB가 Fuse보다 먼저 동작해야 한다

2️⃣N.TR과 Fuse사이의 고장

프로텍터 차단기의 차단능력 상회시에 프로텍터 퓨즈 차단

프로텍터 퓨즈와 차단기 간의 보호협조

거리는 짧고 절연을 강화

  • N.Protector CB 차단능력 > 2Is₂인 경우
    • N.Protector CB가 동작하고 전원 측은 변전소 CB동작
  • N.Protector CB 차단능력 < 2Is₂인 경우
    • N.Protector Fuse가 먼저 차단, 이때 건전회로의 Proctector Fuse는 열화되지 않아야 한다

3️⃣N.P Fuse와 N.P CB 사이의 고장

  • 그림에서 F3점에 단락사고가 발생핶을때의 협조는 곤란해지는데, 프로텍터 퓨즈를 흐르는 전류는 각 회로가 모두 동일하고 퓨즈 상호 간에 선택성을 지니게 한다는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
  • 따라서 이런 부분에서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거리를 짧게 하고 절연을 강화시켜야 한다
  • N.Protector CB 차단능력 > 2Is인 경우
    • 전원 측 변전소 CB및 N.Protector CB에 의해 차단
  • N.Protector CB 차단능력 < 2Is인 경우
    • Protector Fuse에 흐르는 전류는 동일하므로 보호협조가 불가능
    • 모선의 절연신뢰도를 높여 사고발생 확률을 낮추는 것이 필요

4️⃣Take-off장치의 보호협조

프로텍터 퓨즈와 테이크-오프 장치와의 보호협조

수전설비2차측 사고→테이크-오프장치먼저 차단완료→프로텍터 퓨즈는 열화되지 않아야 한다

T₁(프로텍터 퓨즈) > T₂(테이크-오프 차단기)

  • 저전류 영역
    • Take-off CB가 차단
  • 대전류 영역
    • Take-off Fuse가 차단
  • 보호협조 조건(t₁>t₂)
    • t₁ : N. Protector Fuse 열화시간
    • t₂ : Take-Off 장치 동작시간
    • 이 경우 회선에는 모두 Is가 흐르므로 회선의 Protector Fuse는 열화되지 않아야 한다

5️⃣Protector Fuse와 전력회사 계전기와의 보호협조

  • Protector Fuse가 차단된 경우 전력회사의 과전류계전기가 동작되지 않아야 한다.
  • 변전소 OCR 동작시간 여유 > N. Protector Fuse 용단시간

★★건축전기설비
수전방식
수전방식
스포트네트워크
스포트네트워크 배전설비 보호협조

🌐


게시됨

카테고리

작성자

댓글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